본문 바로가기

4

[자료구조] 10장. 연결 리스트 큐 (지역변수) (Queue Linked List) ---------------------------------------------------------- 다음으로 연결리스트 큐 지역변수 버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전역변수를 많이 쓰는건 좋지 않기 때문에 지역변수로 바꾸어 줍니다. ---------------------------------------------------------- ---------------------------------------------------------- ---------------------------------------------------------- ---------------------------------------------------------- ------------------------------.. 2020. 4. 10.
[자료구조] 9장. 연결 리스트 큐 (전역변수) (Queue Linked List) ------------------------------------------- ------------------------------------------- ------------------------------------------- ------------------------------------------- ------------------------------------------- 앞 노드의 주소를 가지는 front 노드 포인터 뒷 노드의 주소를 가지는 rear 노드 포인터 출력을 위한 print 노드 포인터 삭제를 위한 del 노드 포인터 탐색을 위한 search 노드 포인터 ------------------------------------------- 함수 프로토타입은 노드를 추가하는 인큐 .. 2020. 4. 10.
[자료구조] 4장. 선형 큐(Queue) 구현 (배열) --------------------------------------------- --------------------------------------------- --------------------------------------------- 우선 메인함수 윗부분은 이렇게 됩니다. int를 큐로 바꾸어주고 큐의 앞인 f 와 뒤인 r을 -1로 지정해줍니다. --------------------------------------------- 그리고 밑에는 함수 프로토 타입을 만들어 줍니다. 큐에 데이터를 넣는 인큐함수와 큐에서 데이터를 빼내는 디큐함수가 있습니다. --------------------------------------------- ----------------------------------.. 2020. 4. 9.
[자료구조] 3장. 큐(Queue) 설명 ------------------------------------------------------- ------------------------------------------------------- ------------------------------------------------------- ------------------------------------------------------- ------------------------------------------------------- ------------------------------------------------------- 우선 Front를 의미하는 F와 Rear을 의미하는 R이 -1부터 시작하여 인큐 함수를 실행하면 Rear인 R이.. 2020.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