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결 리스트3

[자료구조] 8장. 연결 리스트 스택 (지역변수) (Stack Linked List) ------------------------------------------------------ ------------------------------------------------------ ------------------------------------------------------ ------------------------------------------------------ ------------------------------------------------------ 지역변수 버전이기 때문에 이전에 전역변수로 썻던 이 노드 포인터들을 모두 지역변수로 바꾸어 줍니다. 즉, 메인함수 내부로 위치를 옮겨주게 되는데 이렇게 지역변수로 선언하게 되면 정말 많은게 바뀌게 됩니다. --------.. 2020. 4. 10.
[자료구조] 7장. 연결 리스트 스택 (전역변수) (Stack Linked List) --------------------------------------------------- 이제부터는 연결리스트를 사용하여 배열의 한계를 극복한 연결리스트 스택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처음엔 전역변수 형태로 만듭니다. --------------------------------------------------- 연결리스트 스택은 일단 노드 포인터가 주를 이루는데 처음에는 쉽게 이것의 형태가 전역변수입니다. --------------------------------------------------- --------------------------------------------------- --------------------------------------------------- -------------.. 2020. 4. 10.
[자료구조] 6장. 연결 리스트 설명과 구현 (Linked List) -------------------------------------------- -------------------------------------------- 연결리스트는 배열의 한계를 극복해줍니다. 배열은 길이가 한정되어있지만 연결리스트는 동적할당을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요소를 추가하기 때문에 길이의 제한이 없습니다. -------------------------------------------- -------------------------------------------- 우선 연결리스트를 만들기 위해 이런 구조체가 필요 합니다. 구조체의 요소는 데이터가 들어갈 정수 변수와 다음 구조체 요소의 주소를 가지는 구조체 포인터 입니다. --------------------------------------.. 2020.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