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11 [자료구조] 11장. 트리 (Tree) ---------------------------------------------- ---------------------------------------------- 트리는 나무처럼 가지가 연결되는 구조인데 대표적인 트리구조는 폴더구조가 있습니다. 트리는 계층적 관계를 만들때 쓰는 자료구조입니다. 계층적 관계란 영어로 hierachical relationship이라고 합니다. 히어라키칼 릴레이션십이라고 합니다. 트리의 용어들을 살펴보자면 최상위 노드를 루트 노드라고 합니다. 그 하위 노드를 자식노드라고 하며 왼쪽이 레프트 차일드 오른쪽이 라이트 차일드 입니다. 상위노드가 부모이고 하위노드가 자식입니다. 루트 노드부터 레벨0이고 아래로 내려가면 레벨1 레벨2 이런식으로 됩니다. 같은 레벨에 있는 노드들을.. 2020. 4. 11. [자료구조] 10장. 연결 리스트 큐 (지역변수) (Queue Linked List) ---------------------------------------------------------- 다음으로 연결리스트 큐 지역변수 버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전역변수를 많이 쓰는건 좋지 않기 때문에 지역변수로 바꾸어 줍니다. ---------------------------------------------------------- ---------------------------------------------------------- ---------------------------------------------------------- ---------------------------------------------------------- ------------------------------.. 2020. 4. 10. [자료구조] 9장. 연결 리스트 큐 (전역변수) (Queue Linked List) ------------------------------------------- ------------------------------------------- ------------------------------------------- ------------------------------------------- ------------------------------------------- 앞 노드의 주소를 가지는 front 노드 포인터 뒷 노드의 주소를 가지는 rear 노드 포인터 출력을 위한 print 노드 포인터 삭제를 위한 del 노드 포인터 탐색을 위한 search 노드 포인터 ------------------------------------------- 함수 프로토타입은 노드를 추가하는 인큐 .. 2020. 4. 10. [자료구조] 8장. 연결 리스트 스택 (지역변수) (Stack Linked List) ------------------------------------------------------ ------------------------------------------------------ ------------------------------------------------------ ------------------------------------------------------ ------------------------------------------------------ 지역변수 버전이기 때문에 이전에 전역변수로 썻던 이 노드 포인터들을 모두 지역변수로 바꾸어 줍니다. 즉, 메인함수 내부로 위치를 옮겨주게 되는데 이렇게 지역변수로 선언하게 되면 정말 많은게 바뀌게 됩니다. --------.. 2020. 4. 1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