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인터 연산은
주소 연산을 말하며
이 주소 연산이 일반적인 연산과는 다르게 특별하기 때문에
따로 포인터 연산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포인터 변수에 num변수의 주소를 저장한 다음
밑에서
ptr의 값
ptr+1의 값
ptr+2의 값을
차례로 출력하고 있습니다.
--------------------------------------
실행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ptr의 값
이 16진수 형태로 003FFB30이고
ptr+1의 값은
거기에 4가 더해진 003FFB34가 출력되었습니다.
ptr+2의 값은
거기에 8이 더해진 003FFB38이 출력되었습니다.
--------------------------------------
다음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double형 포인터 ptr에 num의 주소를 저장하였습니다.
그 다음
ptr의 값
ptr+1 의 값
ptr+2 의 값을
차례로 출력하고 있습니다.
--------------------------------------
실행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ptr의 값은
0036F86C가 나왔고
ptr+1의 값은
거기서 8이 더해진
0036F874가 나왔고
ptr+2의 값은
거기서 16이 더해진
0036F87C가 나왔습니다.
--------------------------------------
즉 가리키고 있는 자료형 만큼 증가합니다.
int형 포인터는 +1하면 +4가 되고
double형 포인터는 +1하면 +8이 됩니다.
'C_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프로그래밍] 35장. 포인터 배열 (0) | 2020.04.06 |
---|---|
[C 프로그래밍] 34장. 포인터와 배열 (0) | 2020.04.06 |
[C 프로그래밍] 32장. 포인터 (0) | 2020.04.06 |
[C 프로그래밍] 31장. 2차원 배열 (0) | 2020.04.06 |
[C 프로그래밍] 30장. 1차원 배열 (0) | 2020.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