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제를 보면
float 형 변수 num을 만들고
7번째 줄에서
num을 %f 형태로 입력 받고 있습니다.
즉,
num을 float 실수 형태로 입력 받고 있습니다.
-----------------------------------------------
-----------------------------------------------
이렇게
num을 float 실수 형태로 입력 받아서
9번째 줄에선 그대로 출력하고
10번째 줄에선 %.1f를 이용하여
소수점 1째 자리 까지 출력 합니다.
소수점 1째 자리 까지 출력 한다는 건
2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째 자리 까지 출력한다는 것입니다.
-----------------------------------------------
-----------------------------------------------
-----------------------------------------------
-----------------------------------------------
그 다음 double 형 실수를
입력받는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7번재 줄에서
num을 double 실수 형태인 %lf로 입력 받습니다.
이 lf 는 long float의 줄임말로
float보다 용량이 큰
double 형 실수를 입력받을 때 사용하는 형태 입니다.
값을 입력바등ㄴ 다음
9번째 줄에선 그대로 출력하고
10번째 줄에선 %.1lf를 이용하여
소수점 1째 자리 까지 출력 합니다.
소수점 1째 자리 까지 출력 한다는 건
2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째 자리 까지 출력한다는 것입니다.
-----------------------------------------------
-----------------------------------------------
실행하여
3.14를 입력한 다음 엔터를 누르면
결과가 이렇게 나오게 됩니다.
float는 앞에서도 보았듯이
오차가 많이 있어
잘 사용되지 않으므로
실수를 사용할 땐
double 형 실수 변수를
사용 하는것이 좋습니다.
-----------------------------------------------
'C_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프로그래밍] 20장. if 조건문 (0) | 2020.04.05 |
---|---|
[C 프로그래밍] 19장. scanf_s 문자입력 (0) | 2020.04.04 |
[C 프로그래밍] 17장. scanf_s 정수입력 (0) | 2020.04.04 |
[C 프로그래밍] 16장. 서식문자 (0) | 2020.04.04 |
[C 프로그래밍] 15장. 형변환 (0) | 2020.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