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정수 자료형에 대해서 살펴보면
char, short, int, long, long long 등이 있고
크기와 표현범위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수 자료형에 대해서 살펴보면
float, double, long double 등이 있고
크기와 표현범위가 다음과 같습니다.
-------------------------------------------
sizeof 연산자에 대해서 설명해보면
이 연산자는 자료형의 크기를 반환하는 연산자 입니다.
우리가 영어에서 A of B라고 했을때
해석을 B의A라고 하기 때문에
SIZEOF X 는
뒤에서 부터 읽어서 X의 크기 라고 읽습니다.
-------------------------------------------
여기 코드에서 보면
9번째 줄 SIZEOF CH는
CH의 크기가 됩니다. 크기는 바이트 단위로 출력됩니다.
CH는 케릭터 이기 때문에 1이 출력됩니다.
-------------------------------------------
10번째 줄 SIZEOF INUM은
INUM의 크기가 됩니다. 크기는 바이트 단위로 출력됩니다.
INUM은 정수형 변수 이기 때문에 4가 출력됩니다.
-------------------------------------------
11번째 줄 SIZEOF DNUM은
DNUM의 크기가 됩니다. 크기는 바이트 단위로 출력됩니다.
DNUM은 DOUBLE형 실수 변수 이기 때문에 8이 출력됩니다.
-------------------------------------------
-------------------------------------------
-------------------------------------------
'C_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프로그래밍] 14장. 상수 (0) | 2020.04.04 |
---|---|
[C 프로그래밍] 13장. ASCII 코드 (0) | 2020.04.04 |
[C 프로그래밍] 11장. 실수의 오차 (0) | 2020.04.04 |
[C 프로그래밍] 10장. 2의 보수 표현법 (0) | 2020.04.04 |
[C 프로그래밍] 9장. 비트 연산자 (0) | 2020.04.04 |